피아니스트 이영교, 감동의 해설이 있는 독주회 'MusiCuration V' 개최 "피아니스트 이영교는 클래식 음악의 깊은 매력을 전하며, 독창적인 해설이 있는 독주회 'MusiCuration' 시리즈를 통해 관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마친 후,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박사 과정을 이수한 그는 국내외에서 다채로운 연주 경험을 쌓으며 음악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2025 뮤지엄커넥션' 전문번역가로 선정되어 음악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이영교는, 앞으로도 음악과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편집자주- 1. 연주자로서의 여정 ▣ 피아니스트로서의 길을 걷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어릴 적 자주 놀러 갔던 큰 이모댁 거실에는 갈색 업라이트 피아노가 있었습니다. 그 피아노는 어린 저에게 꽤나 강렬한 인상을 준 것 같습니다. 고가의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역할도 하는 그 피아노를 제가 자꾸 만지고, 치려고 하자 어머니께서 가까운 피아노 학원에 등록해주셨다고 합니다. 그때가 4살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초등학교 들어갈 무렵 부모님께서 저만의 업라이트 피아노를
1. 자기소개 및 프로필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연지 교수입니다. 저는 현재 서울호서예술실용전문학교에서 실용무용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론과목을 강의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졸업을 위해 학점을 관리해주는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는 중앙대학교 무용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무용교육을 전공하였으며, 동 대학교의 체육대학에서 스포츠사회학으로 박사를 졸업하였습니다. 무용실기와 무용관련 이론, 체육학까지 다 방면으로 공부를 해왔습니다. 현재는 실기 수업보다는 무용개론 및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과 같은 이론 과목을 중심으로 강의하고 있습니다. 무용학과 체육학을 기초로 하여 실용무용계열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과목의 경우, 학생들이 졸업후 다양한 분야로 취업이 연결될 수 있도록 돕고자 매 학기마다 대한문화체육지도자협회와 협력하여 레크리에이션지도자 자격증 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에 재직중임에도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 무용학, 체육학과 관련된 연구를 한다거나 프로젝트, 논문심사, 콩쿠르심사, 문화예술과 관련 된 자문, 무용학·체육학 특강, 안무활동 등
음악과 미술의 천상의 조화를 이루어 낸 작가 김지은 Q. 안녕하세요. 김지은 작가님.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저는 김지은 이라고 합니다. 저는 회화를 매개로 아날로그와 디지털 매체 사이를 오가며 색과 형태들의 조합을 통해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작업을 하는 아티스트입니다. 스케치 없이 하나의 우연적 모티브로 작업을 시작하며, 그로부터 점진적으로 파생되는 색과 형태들을 조합해 캔버스 전체로부터 시각적으로 균형있고 조화로운 하나의 상을 이끌어 내는 것에 집중하는 작업을 주로 하고있습니다. Q. 본인의 예술적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이나 계기는 무엇인가요? 처음에 독일로 떠날 땐 바이올린을 위한 석사과정에 지원하고자 갔어요. 그런데 독일에 도착해 한달도 채 지나지 않은 때부터 일상에서 조금씩 보이던 많은 것들이 있었습니다. 제가 지내게 된 도시는 정말 작은 도시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관, 공연장 등 여러 문화공간 및 행사들이 그 도시 속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매우 밀접하게 닿아 있었어요. (뮤지엄 나이트, 음악페스티벌 등등). 특히 그때 당시 저에게 전시라는 포맷은 대도시의 산물 같은 느낌이었는데 그 작은 도시에서도 이미 모두가 쉽게 접할 수
한국 클래식계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은 음악 교육현장 이야기 한국에서의 하반기 일정은 음악전공생들에게 바쁜 시기이다. 9월-10월 사이엔 음악대학교 수시기간, 10월 중에는 예중•예고 입시기간, 11월은 수능, 다음 해 1월-2월은 정시기간이기에 많은 음악전공생들과 선생님들은 굉장히 정신이 없다. 필자도 입시를 겪었었고 학생들을 계속 가르치고 있는 입장에서 전공생들에게 조언을 많이 해주고 있지만, 입시를 제외하고 ‘음악가의 인생’에 대해 얘기해 줄 시간이 그리 많이 없는건 사실이다. 모두가 궁금해하는(심지어 우리 가족들도) 연주자•교육자들은 어떻게 살아왔고, 살아가고있는지 하나씩 재밌게 풀어가고자 한다. 오늘은 그 첫 번째 파트인 ‘피아노 교육’에 대해 적고자 한다. 1. 교육자? 연주자? 보통은 초등학교 입학 전 후로, 한국 어린이들은 피아노나 악기를 통해서 음악교육을 시작하게된다. 필자는 어렸을 때부터 피아노가 너무 배우고 싶어서 부모님을 졸라 초등학교 입학선물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해서 여기까지 오게되었다. 많은 전공생들 모두 마찬가지겠지만 학생 때는 무대에서 연주하는 멋진 피아니스트를 늘 꿈꾸며 연습했던 것 같다. 다행히도(?) 그 꿈은 이루어졌고, 연